정보보안기사

[정보 보안 기사] 20. TCP/IP (1)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Uggjjini 2021. 7. 20. 15:50

Session 20. TCP/IP

  • TCP/IP 계층 구조
  • 각종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
  • 포트의 의미

1. 물리 계층 

 

데이터와 신호 

응용,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에서의 통신은 논리적(logical)

물리 계층에서 통신은 물리적(physical)

 

물리적 통신

  • 호스트-대-라우터
  • 라우터-대-라우터
  • 라우터-대-호스트
  • 교환기

 

데이터와 데이터를 표현한는 신호

아날로그 데이터
(analog data)
연속적인 정보
디지털 데이터
(digiatal data)
이산 값을 갖는 정보

 

2. 데이터 링크 계층 

 

노드와 링크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통신은 노드-대-노드
  • 인터넷에서 하나의 지점으로부터의 데이터 유닛은 다른 지점에 도달하기 위해 LAN과 WAN과 같은 많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될 필요가 있음 
  • LAN과 WAN은 라우터를 통해 연결 (노드와 링크로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

 

서비스

프레임 짜기 
(Framing)
각 노드에서 다음 노드에게 데이터그램을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 계층에서 전달 받은 패킷인 데이터그램을 프레임에서 캡슐화해야 함 
흐름 제어
(Flow Control)
서로 다른 데이터링크 계층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흐름 제어 전략을 사용
전송 계층에서 흐름제어는 아주 중요 
오류 제어
(Error Control)
전기 신호는 오류에 취약하기 때문에 프레임 또한 오류에 취약
--> 오류 검출 필요
--> 오류 검출 이후에 송신자 노드에서 수정 혹은 오류 폐기
--> 재전송 송신 노드에게 요청 
혼잡 제어
(Congestion Control)
비록 링크가 프레임 혼잡으로 인해 프레임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어떤 광역 네트워크 이외의 대부부의 데이터링크 계층 프로토콜은 직접적으로 혼잡 제어를 사용하지 않음
일반적으로 종단-대-종단 통신
네트워크 계층 또는 전송 계층은 문제로 여김

*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패킷은 일반적으로 프레임이라고 부름